목록부동산소식 (139)
이슈콕콕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K86iI/btrfhJprz5K/ktgc9H5iXLRdy35tDKRj70/img.jpg)
서울시는 역세권 활성화 사업 대상지로 강북구 삼양사거리역과 마포구 공덕역, 강동구 둔촌동역 일대 등 3곳을 선정했습니다. 역세권 활성화사업 역세권 활성화 사업은 입지요건을 만족하는 역세권 토지의 용도지역을 상업지역 등으로 상향해 용적률을 높여주고 , 증가한 용적률의 50%를 지역에 필요한 생활서비스 시설( 어린이집· 보건소·체육시설)과 공공임대주택으로 공급하는 사업입니다. 공공기여( 기부채납) 시설 외에도 해당 지역의 입지 특성에 따라 상가 등을 적정비율로 조성할 수 있기 때문에 민간사업자는 사업성을 높일 수 있고 공공은 지역에 필요한 시설을 확충할 수 있습니다. 이번 선정된 대상지는 역사나 대규모 주거단지가 들어설 예정이거나 상업·업무기능 강화가 필요한 지역들로 다음과 같습니다. 삼양사거리역 주변 강북..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evlhuv/btrfb0l9jYn/aZVjvkL0kMKjikkbgJ97T0/img.jpg)
서울 중구 을지로 공구거리 일대 재개발 사업이 본격화됩니다. 공공임대산업시설 등을 조성해 영세한 세입자들이 재입주할 수 있도록 ' 상생·순환형 도심 재개발 모델'로 추진됩니다. 을지로 공구거리는 조선 중기부터 궁궐과 관공서에 납품할 각종 물건을 만드는 장인들이 모여 집성촌을 이루던 지역으로 1960년대 청계천을 중심으로 240여개 공구상가가 형성되면서 '청계천 공구거리'로 불리고 있습니다. 하지만 노후 건물이 밀집해 안전이 우려되는등 도시환경개선 필요성이 꾸준히 제기됐으며 이에 2010년 재개발 정비구역으로 지정되고 2018년 사업시행인가가 신청됐지만 , 전면 철거형 재개발로 인한 공구산업 생태계 훼손과 영세 세입자 내몰림 방지 대책 마련에 오랜 시간이 소요됐습니다. 이후 주변 상인과 토지주, 사업시행자..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v2ioE/btrfbRnfBDQ/Ok2sKR8jdtyjWKiQh7V5n1/img.jpg)
서울시는 2021년 9월 14일 제 17차 건축위원회를 개최하여 서초구 신반포 22차 아파트 재건축사업 등 6건에 대한 건축계획안을 통과시켰으며 이번 건축 심의에서 주택은 총 2,886호 ( 공동주택 2,445세대, 오피스텔 441실)를 공급하였고 , 서울 동북권 지역 발전을 위한 서울 아레나 복합 문화시설 사업이 본격적으로 추진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응암동 601-74번지 주상복합 신축공사 사업명 (주관부서) 위치 대지면적) 건축용도 건축규모 응암동 601- 74번지 주상복합 신축공사 ( 은평구 건축과) 은평구 응암동 601-74번지 일대 ( 5,992 ㎡) 공동주택 (308세대) 오피스텔 (42실) 판매시설, 근생 용적률: 605.78% 연면적: 65,788.49㎡ 층수 : 지하 7/ 지상 29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Aaofs/btre0bnuqjK/WsGsNGsKdiHntkCYbbluK1/img.jpg)
국토 교통부는 주택 공급확대를 위한 현장 애로 개선방안으로 도시형 생활주택과 오피스텔 건축규제를 개선하며 연내 주택도시보증공사의 고분양가 심사기준과 분양가 상한제 기준도 개편했습니다. 도시형 생활주택 원룸형 도시형 생활주택에서 소형 도시형생활주택으로 개편합니다. ① '원룸형 유형'을 소형으로 개편하고 전용 면적 등을 확대합니다. 현행 ) 원룸형 도시형 생활주택은 전용 50㎡ 이하로만 공급가능 합니다. 개선 ) 원룸형 → 소형 도시형생활주택으로 개편하면서 허용면적 상한기준을 전용 50㎡ 이하 → 전용 60㎡ (가족형 평형)이하로 확대합니다. ② 공간구성 제한완화 현행 ) 원룸형 도시형 생활주택은 전용 30㎡이상인 경우에 한하여 침실1 + 거실 1 등 2개의 공간만 구획가능합니다. 개선) 중소형 주택 수용에..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tO4xF/btre5v50ux3/hZq8kWjpJp7aPj9ELUA1nK/img.jpg)
국토교통부는 노무비와 건설자재 가격 상승 등을 고려해 분양가 상한제를 적용받는 공동주택 ( 전용면적 85㎡기준)의 건축비 상한액 (공급면적 3.3㎡ 당) 을 기존 664만 9000원에서 687만 9000원으로 지난 7월 대비 3.42% 오른 23만 원을 인상한다고 밝혔습니다. 기본형 건축비는 노무비와 건설자재 가격 등의 변동을 반영해 매년 3월과 9월 두 차례 정기적으로 발표하지만 올해는 급등한 철근값을 반영하기 위해 7월 한 차례 더 인상한 바 있습니다. 이번 고시에는 지난 7월 고시에서 반영되지 않은 고강도 철근 외 건설자재, 노무비 가격 변동 등을 반영하여, 기본형 건축비를 직전고시 ( 21.7월) 대비 3.42% 상승 조정키로 하였습니다. 상승 요인 상승 요인별로 보면 3.42% 중 최근 ① 조달..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JUZhk/btreZZ0jPlI/6nnex1UyxUQkMuA7ZqRR21/img.jpg)
의왕오매기 공공주택지구 개발사업이 예정된 경기 의왕시 오전동 일원 0.295㎢가 9월 19일부터 2024년 9월 19일까지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지정됐습니다. 토지거래허가구역에서 토지를 거래하려면 해당 자치단체장의 허가를 받아야 하며 허가받지 않고 계약을 하거나 부정한 방법으로 허가를 받을 때는 2년 이하의 징역 또는 2000만 원 이하의 벌금을 부과합니다. 건축허가제한은 9월 14일부터 2023년 9월 13일까지 2년 ( 1년 연장가능)이며, 토지거래허가는 9월 19일부터 2024년 9월 18일까지 기간은 3년 입니다. 한편 의왕시 오전동 일원에 조성될 예정인 오메기지구는 주거· 상업 · 문화와 지역 일자리 창출을 위한 복합단지로 추진될 것이란 전망이며 의왕시와 경기주택도시공사 공동으로 도시개발이 진행돼..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QvSrv/btrePXpngZf/BKQvWqqxoFigkBJLBOsHcK/img.jpg)
LH부산울산본부는 부산기장 신혼희망타운은 부산 기장군 기장읍 청강리 공공지원민간임대촉진지구 내 A2블록에 건립중으로총 728세대 가운데 공공분양 486세대, 행복주택 242세대로 건설되며 그 중 공공분양 잔여세대 292호를 추가 모집합니다. 신청대상 ① 현재 부산시에 거주중인 예비신혼부부 ② 신혼기간 7년이내 또는 만 7세 이하 자녀를 둔 신혼부부 ③ 한부모 가족으로 무주택세대구성원 가격을 충족해야 합니다. 평면도 주거환경 및 단지 내 특징 ◎ 아파트는 총 8개동에 최고 9~25층으로 건립되며 전용면적 55㎡형( 주거약자용 포함 93호)·59㎡형( 26호)으로 구성됩니다. ◎ 기본형은 거실 1, 방 3개로 구성된 4베이 평면으로 신혼부부의 선호도를 반영했습니다. ◎ 행복주택 세대 내 소음저감 기능성 룸카..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iviBz/btreLfQfbUl/bTMgQC8vDl0kzMKLdI3CxK/img.jpg)
작년 전국에서 아파트 값 상승률이 가장 높았던 세종시가 최근 7주 연속 하락하며 누적 상승률 꼴찌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한국 부동산원에 따르면 올해 들어 9월 첫째 주까지 세종 아파트 값 누적 상승률은 2.19%로 전국 17개 광역 시·도 가운데 가장 낮았으며 이는 전년 동기 대비 누적 상승률 35.88%의 1/16 수준입니다. 반면 작년엔 44.93% 올라 전국 최고 상승률을 기록한 바 있습니다. 이 같은 원인은 작년 단기적인 가격 급등에 따른 피로감과 입주물량이 많은진 것이 아파트값 하락의 주 요인인 것으로 보고 있으며 실제 세종 아파트 입주 물량은 지난해 5655가구에서 올해 7668 가구로 늘었습니다. 또한 정부의 2·4대책 후속 조치로 연기면에 6000가구, 조치원읍에 7000가구 규모의 신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