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콕콕
뮤변이 바이러스 현황 본문
국내 코로나 19 새로운 변이인 '뮤' 변이가 국내에서도 처음 발견됐습니다. 국내에 유입된 뮤 변이 감염자는 3명으로 멕시코, 미국, 콜롬비아에서 각각 들어온 것으로 파악되며 입국 시점은 멕시코 지난 5월, 미국 6월 콜롬비아 7월입니다.
뮤 변이는 지난 1월 남미 콜롬비아에서 처음 보고된 뒤 남미와 유럽을 중심으로 40개국에서 발견된 것으로 알려졌으며 일본에서도 2명의 뮤 변이 감염자가 확인됐습니다.
앞서 지난달 벨기에 한 요양원에서 7명이 뮤 변이로 사망했는데 사망자들은 모두 백신 접종을 완료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 코로나 19 변이 바이러스 종류
명칭 | 알파 α | 베타β | 감마γ | 델타 δ |
최초확인 | 영국 2020.9 |
남아공 2020.5 |
브라질 2020.11 |
인도 2020.10 |
전파력 | 1.5배 | 1.5배 | 12배 | 알파형 변이대비 1.6배 |
WHO지정 | 우려 | 우려 | 우려 | 우려 |
에타 η | 요타 ι | 카파 κ | 람다 λ | 뮤 μ |
영국 2020.12 |
미국 2020.11 |
인도 2021.3 |
페루 2020.9 |
콜롬비아 2021.1 |
관심 | 관심 | 관심 | 관심 | 관심 |
뮤는 그리스 알파벳 열두 번째 글자 μ 에서 따왔습니다.
WHO는 코로나 변이 바이러스중 전파력과 증상, 백신 효과 등을 고려해 주의해야 할 변이를 '우려 변이'와 '관심 변이'로 지정했으며 뮤 변이는 우려 변이보다 주의도가 낮은 관심 변이로 지정됐습니다.
보건기관은 백신에 대한 저항력을 향상할 수 있는 여러 돌연변이가 뮤 변이 바이러스에 포함되어있다고 경고했지만, 실제 뮤 변이의 면역회피 정도, 전염력 등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는 입장입니다.
과학뉴스 웹사이트인 라이브사이언스에 따르면 WHO는 지난달 31일 자 주간 역학 보고서에서 B.1.621로도 불리는 뮤 변이가 면역 회피를 일으킬 수 있는 잠재적 특성을 가진 돌연변이들을 갖고 있다고 보고했으며 과학자들에 따르면 뮤는 남아프리카 공화국 발 베타 변이에 있었던 E484K와 K417N 돌연변이를 갖고 있습니다.
▶ 뮤μ 변이 바이러스 관련기사
'상식 및 관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륜자동차 정기검사 기간 및 과태료 (1) | 2021.09.05 |
---|---|
할매니얼 입맛 제품 살펴보기 (0) | 2021.09.04 |
재정지원 제한대학명단 (0) | 2021.09.03 |
가로주택정비사업 문제점 및 장점 (0) | 2021.09.02 |
인앱결제 강제 금지법 (구글갑질방지법) (0) | 2021.09.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