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콕콕
제 4차 대도시권 광역교통 시행 계획 본문
국토교통부 대도시권 광역교통위원회는 향후 5년간 권역별 광역 교통망 계획을 담은 제4차 대도시권 광역교통 시행 계획안 ( 2021~ 2025년)을 최종 확정했다고 발표했습니다.
이번 계획안은 5년 단위 중기 법정계획으로 권역별 광역교통망 계획과 광역교통 개선 추진 과제를 제시하였으며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① 권역별 광역교통시설 및 통행 현황, 장래 여건 진단에 기초한 권역별 추진 전략, 광역교통망 구축, 운영계획을 제시 하였습니다.
< 수도권 >
수도권 광역철도
사업명 (노선) | |
• 대장홍대선( 부천대장~ 홍대입구) | • 위례과천선 ( 복정 ~ 정부과천청사) |
• 신구로선( 시흥대야 ~ 목동) | • 제2경인선 ( 청학 ~ 노은사) |
• 별내선 연장 ( 별내역~ 별가람역) | • 강동하남남양주선 ( 강동~ 하남~ 남양주) |
• 인천2호선 고양연장 (인천 서구 ~ 고양 일산서구) |
• 고양은평선 ( 새절~ 고양시청) |
• 서부권 광역급행철도 ( 장기 ~ 부천종합운동장) |
• 송파하남선 ( 오금 ~ 하남시청) |
• 위례삼동선 ( 위례 ~ 삼동) | • 분당선 ( 왕십리 ~ 청량리) |
• 분당선 연장 ( 기흥~ 오산) | • 일산선 연장 ( 대화 ~ 금릉) |
• 신분당선 ( 호매실~ 봉담 ) |
◎ 광역 급행철도 및 광역BRT등 광역교통 인프라를 확충하고, 광역버스 준공영제 확대를 통해 대중교통 공공성을 강화합니다.
- 기존 및 신규 수도권 광역급행철도의 적기 추진
- 인천 2호선 고양연장
- 동부 BTX 및 서부 BTX 등 신규 광역교통시설 사업 선정
◎ 신도시 광역교통 개선대책을 적기에 추진하고, 광역급행철도와 연계하여 환승센터를 적기에 구축하는 한편, 합리적 광역교통 요금체계도 확립할 계획입니다.
- 청량리역 환승센터, 서울역 환승센터 등 신규사업 추진
수도권 광역 BRT
사업명 (노선) |
• 성남~ 복정 광역 BRT ( 복정역 ~ 남한산성 입구) |
• 올림픽대로 광역 BRT (서부 BTX) ( 행주대교~ 당산역) |
• 청량리~ 도농 / 평내호평 광역 BRT ( 청량리 ~ 평내호평역) |
• 강변북로 광역BRT ( 동부BTX) ( 수석IC ~ 강변역 ) |
• 계양, 대장 광역BRT ( 계양 ~ 부천종합운동장, 박촌역 ~ 김포공항역) |
< 부산, 울산권>
구분 | 사업명 ( 노선) |
광역철도 | • 부산 ~ 양산~ 울산 광역철도 ( 부산 노포~ KTX 울산역) |
• 동남권순환 광역철도 ( 진영~ 울산역) | |
광역도로 | • 부산 미음~ 부산 가락 ( 부산 미음동~ 김해 수가동~ 부산 봉림동) |
환승센터 | • 울산 송정역 환승센터, • 경남 마산역 광역환승센터 • 양산 북정역 환승센터, • 양산 사송역 환승센터 |
◎ 일반철도의 광역철도 활용 및 신규 광역철도 추진 등 대중교통 중심의 광역교통 네트워크가 확충됩니다.
- 부산~ 양산~ 울산 광역철도 신규 건설
- 동해선(태화강~ 송정 구간 ) 광역철도 활용
◎ 광역도로, 광역 BRT 확충 등으로 권역 내 연계를 강화하고 광역환승할인 확대 및 통합요금제 시행이 추진됩니다.
- 부산 미음~ 가락 신규 광역도로 및 울산송정역 등 4개 신규 환승센터 추진
< 대구권 >
구분 | 사업명 ( 노선) |
광역 철도 | • 대구 1호선 영천 연장 ( 경산 하양역 ~ 영천시 ) |
광역 도로 | • 대구 안심~ 경산 임당 ( 대구 동구 ~ 경산 임당동 ) |
환승 센터 | • 서대구역 복합환승센터 |
◎ 광역철도 확충 및 대중교통 환승, 연계체계 강화, 광역도로 신설, 확장 등을 통한 소통 애로 구간 개선을 추진합니다.
- 대구 1호선의 영천 연장을 비롯해 대구 안심~ 경산 임당 광역도로 등이 추진
◎ 대구, 경북 광역교통 거버넌스 구축 및 광역 교통 모니터링 전담기관 도입을 검토할 계획입니다.
< 광주권>
구분 | 사업명 ( 노선) |
광역 철도 | • 광주 ~ 나주 광역 철도 ( 상무역 ~ 나주역 ) |
◎ 신규 광역철도 추진, 광역버스 체계 및 통합요금제 도입 등을 통해 대중교통 중심의 광역교통 네트워크를 확충할 계획입니다.
- 광주~ 나주 광역철도, 광주 대촌~ 나주 금천 광역도로 등 신규 광역철도가 건설
◎ 광역교통 이용자의 환승편의 증진을 위해 기존 도시철도 역사 중심의 환승 및 연계교통망 구축 등 지역 간 이동성도 강화할 계획입니다.
< 대전권 >
구분 | 사업명 ( 노선) |
광역 철도 | • 대전 ~ 세종 광역철도( 반석동~ 어진동) |
광역 도로 | • 대전 대덕 특구 ~ 세종 금남면 ( 대전 자운동 ~ 세종 금남면) |
광역 BRT | • 세종 - 공주 광역 BRT ( 행복도시 ~ 공주시내버스터미널) |
• 세종 - 청주 광역 BRT (행복도시 ~ 청주대농지구) | |
환승 센터 | • 계룡역 환승센터 |
◎ 광역철도, 광역도로, 광역 BRT, 광역환승센터 등 전반적인 인프라 확충을 통한 원활한 광역교통체계를 구축할 계획입니다.
- 대전~ 세종 광역철도, 대전 대덕특구~ 세종 금남면 광역도로, 세종 ~공주 , 세종 청주 광역 BRT 등 신규사업 추진 및 기존 충청권 광역철도 사업의 안정적 추진
◎ 광역버스 확대 및 광역 교통 요금체계 구축 및 새로운 기술을 적용한 통합교통서비스 도입을 검토할 예정입니다.
② 이번 시행계획에 반영된 광역교통시설은 총 122개로 광역철도 41개, 광역도로 25개, 광역 BRT12개, 환승센터 44개 등입니다.
③ 광역교통망 구축과 함께 광역 교통 개선을 위해 아래와 같이 광역 교통 운영 및 제도 개선 과제를 선정 추진합니다.
◎ 광역버스 확충 및 서비스 향상
- 광역 버스 준공영제 확대 ( 지방 대도시권 , ~ 2025년)
- 저비용, 고효율의 S-BRT 구축 ( 계양, 대장 지구, 창원 S-BRT 등 )
- 주요 간선도로에 이동식 중앙 분리대를 활용한 BTX 도입 ( 동부BTX, 서부 BTX)
◎ 빠르고 편리한 환승체계 구축
- 주요 철도역 등에 환승센터 구축 ( 2023년 GTX-A 등)
- 수평환승체계 확산 (GTX-B, C 청량리역) 등 이용자 중심 환승체계 마련
- 환승역에서의 환승 편의 제고를 위한 환승기능 검토 강화
◎ 합리적인 광역교통 요금 체계 구축
- 알뜰 교통카드 전국 확대 및 모바일 알뜰 카드 이용 지역 확대 ( 서울, 충청, 제주에서 전국으로 2022년까지)
- 통합요금제 지방 대도시권 확대
- GTX개통 등에 대응한 지속 가능한 광역교통요금체 게 마련 ( 2022년부터 )
◎ 광역 교통개선 대책 관리 강화
- 일정규모 이상 상업, 업무용 개발사업 개선 대책 수립 추진 ( 2022년부터)
- 사업 단계별 협의 지연 등 사업 지연 시 대광 위 중재, 조정 강화, 광역교통 특별대책 지구제도 적극 활용
◎ 친한경, 미래 교통 구축
- 노선버스 , BRT 등 대중교통 친환경차량( 전기 , 수소 등) 전환 추진
- 트램, 트램-트레인 등 신교통수단 적극 도입 ( 타당성 평가기준 개선 등 활성화 기반 마련)
- 공유형 퍼스널 모빌리티와 광역 교통 연계 강화
'부동산소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존치지역과 일몰제의 의미 (0) | 2021.07.07 |
---|---|
용인 힐스테이트 몬테로이 분양정보 및 분양가 (0) | 2021.07.06 |
더샵 청주센트럴 분양정보 (0) | 2021.07.06 |
과천 지식정보타운 린 파밀리에 분양정보 (0) | 2021.07.06 |
e편한세상 강일 어반브릿지 분양정보 (0) | 2021.07.05 |